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안내
가. 사업개요
1. 정의
가정,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하여 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를 구축하고, 학생들의 교육복지 증진을 위하여 교육ㆍ복지ㆍ문화 지원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사업
2. 근거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제54조 3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관리・운영에 관한 규정」(교육부훈령 제106호)
「경기도교육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조례」(경기도조례 제7500호)
「경기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관리・운영에 관한 규정」(경기도교육훈령 제247호)
 2023 경기교육 기본계획(정책4-2-2 교육복지사업 운영 활성화)
「교육경비보조에 관한 조례」(군포시 제2조 별표 제17항, 의왕시 제3조)
3. 추진배경
복지지출의 증가에도 높은 상대빈곤율 비중 등 소득격차, 교육격차 확대
교육복지 수요학생의 위기요인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하나의 위기요인이 다른 위기요인을 초래하므로, 한 요인에 중점을 둔 지원이 아니라 개별학생 맞춤형 통합 지원 필요
모든 학생이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하고, 학생 누구나 교육에서 소외받지 않기 위해 지역교육복지공동체 구축을 위한 공적 지원 필요
4. 추진체계



  • 교육부
    • 중앙교육복지 연구지원센터
  • 경기도교육청
    • 광역자치단체 광역단위기관
    • 경기도교육청 교육복지협의회
  • 교육지원청
    • 기초자치단체 지역사회기관
    • 지역교육복지협의회
    • 지역교육복지지원센터
  • 학교 : 학교운영위원회, 교육복지 소위원회
    • 학교내 지원
      - 교사의 교육복지마인드 제고
      - 학생 특성별 맞춤형 지원
      - 교육활동과 유기적 인계
      - 효과적인 학생 지원을 위한 교내 시스템 구축
    • 학교밖 지원
      - 지역과 협력체계 구축
      - 지역기관, 단체 연계 지원
      - 공공기관 연계 지원
      - 학생 봉사활동과 지역사회 참여 활동
  • 가정(학생)
5. 사업내용: 학생의 인지‧정의‧사회적 영역의 전인적 성장 지원
교육지원청 : 학교 지원, 학교-지역 간 네트워크, 공동사업 운영, 비사업학교 학생 지원
학교 : 수요학생의 욕구를 파악하여 건강한 성장을 위한 맞춤형 지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구분, 주요 운영 내용에 대한 표
구분 주요 운영 내용
사업‧협력 학교
  • 프로그램: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한 학습, 문화, 정서 영역 활동 지원
  • 사례관리: 우선지원학생 파악, 심리검사 및 상담, 가정방문 등 맞춤형 지원
  • 지역네트워크: 학교‧가정‧지역사회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복지실 운영
  • 운영지원: 연수, 협의회, 홍보, 자원봉사(실습생) 관리 등
연계학교
  • 프로그램
    • - (필수) 사제동행-학습‧체험‧정서‧복지 멘토 활동
    • - (선택) 교육과정 및 유관사업과 연계한 다양한 활동
  • 학생성장지원: 연수, 협의회, 위기학생 긴급지원(사회보장 기관 연계)
희망교실
  • 프로그램: 교육복지 사제동행 실시
    • - (비)담임교원이 우선지원학생과의 인생 멘토 역할
    • - 교사와의 관계 증진 및 학습, 문화체험, 긴급지원 등을 통해 학습 적응력과 자존감 향상
※ 「경기도교육청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지원 조례」제2조
사업학교: 도교육청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실시하는 학교
연계학교: 사업학교 선정기준에 미치지 못하지만 학교의 실태 및 지역 여건 등을 고려할 때 사업관련 일부 지원이 필요한 학교
협력학교: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시·군의 지원으로 실시하는 학교
나. 지역 현황
1. 학교 현황







  • 사업학교
    • 곡란중학교

      대표 463-8205

      복지실 463-8208

    • 경기폴리텍고등학교

      대표 390-4587

      복지실 390-4606

    • 군포초등학교

      대표 398-4237

      복지실 392-0505

    • 군포중학교

      대표 452-8233

      복지실 429-0439

  • 군포 협력학교
    • 산본초등학교

      대표 394-6512

      복지실 394-6512

    • 관모초등학교

      대표 397-0235

      복지실 397-0235(내선 780)

    • 흥진중학교

      대표 390-5142

      복지실 390-5156

    • 금정초등학교

      대표 452-0457

      복지실 429-7350

    • 금정중학교

      대표 688-4100

      복지실 688-4189

    • 군포양정초등학교

      대표 396-6334

      복지실 399-2296

  • 의왕 협력학교
    • 백운중학교

      대표 425-0013

      복지실 425-0013

    • 오전초등학교

      대표 459-0371

      복지실 459-0372

    • 고천초등학교

      대표 452-4052

      복지실 429-5168

    • 의왕덕성초등학교

      대표 462-9311

      복지실 347-0163

    • 의왕부곡중학교

      대표 461-3603

      복지실 461-3603

    • 군포양정초등학교

      대표 396-6334

      복지실 399-2296

    • 의왕부곡초등학교

      대표 461-7002

      복지실 462-2097

2. 교육복지 네트워크
교육복지 네트워크의 구분, 내용에 대한 표
구분 내용
아이보듬
네트워크
  • 기능: 초등학생 대상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유관기관 네트워크(군포)
  • 권역별 함께 만드는 기관(월 1회 권역별 회의)
    • - 관모초 권역: 관모초, 꿈의집, 매화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 - 광정초 권역: 광정초, 사랑꿈터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 - 군포양정초 권역: 군포양정초, 사랑이있는, 샤론, 영은늘푸른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 - 군포초 권역: 군포초, 군포초, 기쁨, 당동큰빛, 엔젤트리, 정원, 희망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 - 금정초 권역: 금정초, 갈릴리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군포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부곡중앙초 권역: 부곡중앙초, 해맑은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 - 산본초 권역: 산본초, 드림스타트
아이사랑
네트워크
  • 기능: 통합사례관리를 위한 유관기관 네트워크(의왕)
  • 권역별 함께 만드는 기관(분기별 1회 권역별 회의)
    • - 고천·오전동 권역: 고천초, 오전초, 고천, 살림,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 - 삼동 권역: 의왕덕성초, 의왕부곡초, 사무엘스쿨, 글로벌인재스쿨 지역아동센터, 드림스타트
군포 청소년지원
네트워크2.0
  • 청소년들을 다각적으로 통합지원하는 선순환적 협업 문화와 환경 조성을 위한 유관기관(군포 민,관,학) 네트워크
    ※ 2023.3.현재, 49개 기관 참여
※ 참여기관은 운영 중 확대될 수 있음.


  • 담당부서교육과
  • 담당자이선영
  • 연락처390-1153